스왑의 가격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구할 수 있다:
스왑의 정의
8 장 . 부외거래업무와 조건부 청구권 상품
1. 스왑
1) 정의 : 위험의 노출을 거래하는 계약
2) 금리스왑 : 서로 다른 전망을 가진 상품의 이자지급액을 교환
ex) 변동금리 부채와 고정금리 자산 , 고정금리 부채와 변동금리 자산 , LIBOR 와 3~10 년 만기 대출
→ 이자지급액을 교환하는 스왑을 체결하여 금리위험에 대한 노출을 감소
3) 종류 :
- 기본형 스왑 :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스왑
- ( 금리 ) 베이시스 스왑 : 변동금리와 변동금리 스왑
- 통화스왑 : 고정금리 / 고정금리 스왑과 교차통과 금리스왑
4) 스왑관련 혁신 ( 변종 )
- 원금체감스왑 , 지수연계원급체감스왑 (eg., 유가연계 스왑 ), 선도스왑
- 파생증권 : 스왑션 ( 파생상품의 파생상품 ), Caps
2. 스왑 vs 금리선물
1) 금리선물계약 : 미래 미리 정한 날짜에 특정 가격으로 특정 금융자산을 매수도 하는 계약
2) 스왑의 장점 : 스왑은 customize 가능 , 금리선물은 표준화 됨 , 더 나은 금리헤징 가능 , 거래비용 낮음
3) 스왑의 단점 : 스왑거래 당사자 찾기 힘들어서 유동성이 낮음 , 높은 탐색 ( 거래 ) 비용 , 지급불이행 위험
3. 스왑 vs 부채재조달
1) 부채재조달 : 고정금리부채 보유중인데 변동금리부채 원하는 경우 , 변동금리 부채를 발행하여 그 자금으로 고정금리 부채를 상환하는 헤징 방법
2) 스왑의 장점 : 부채재조달 시의 규제 회피 가능 , 신규 자금조달 요건 면제 , 탐색비용과 신용평가비용 절감
4. 신용파생상품
1) 정의 : 보험 / 보증 상품 , 손실에 대한 guarantee, 본질적으로 신용위험에 대한 보험
2) 고객의 금리 변동성을 헤징하기 위해 발생
스왑의 정의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정선영 기자
- 승인 2020.02.03 07:33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TRS(Total Return Swap)는 신용파생상품의 일종으로 총수익스와프라고도 부른다. 거래는 기초자산(주식, 채권, 상품 등)의 신용위험과 시장위험을 모두 이전하는 대가로 이자(수수료)를 받는 식으로 이뤄진다.
주로 증권사가 총수익 매도자(TRS payer)로서 기초자산을 매입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손익을 비롯한 모든 현금흐름을 총수익 매수자(TRS receiver)에 이전한다.
총수익 매수자는 약정된 이자(수수료)를 주는 대신 투자에 따른 보상(이익)과 위험(손실)을 모두 이전받는다.
이 경우 기초자산에 대한 투자는 총수익 매도자가 하지만 투자나 소유에 따른 이익과 손실은 총수익 매수자가 갖게 된다.
최근 환매 연기 사태를 빚은 라임자산운용, 알펜루트자산운용과 증권사의 TRS 계약도 이런 형태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가 TRS거래를 할 경우 기초자산이 주식이라면 주식 투자는 증권사가 하지만 주식 보유에 따른 이익 보상과 손실 위험을 모두 자산운용사에 넘긴다.
자산운용사는 증권사에 약정된 이자와 증거금을 지급한다. 신용도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나 파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보전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이렇게 하면 자산운용사는 약정된 이자만으로 자금을 차입해서 투자하는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증권사에 일정 비율의 증거금(담보 비율)만 내고, 지정한 기초자산을 매입해 손익을 이전받으므로 보유한 자금에 비해 많은 규모의 투자를 할 수 있다. 증거금 비율이 50%면 절반의 자금으로 두 배의 투자가 가능하다.
TRS 계약은 만기가 돌아오면 롤오버하는 식으로 유지되지만 만기 시점이나 중간에 상환할 수도 있다.
증권사는 담보로 잡은 운용사의 펀드가 손실이 나거나 증거금 납입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면 담보비율을 높이거나, 상환을 요구하게 된다.
TRS 거래는 기업간의 M&A 과정에서도 종종 활용된다.
지분을 인수하고 싶은 기업이 증권사와 TRS계약을 맺고, 중간에 특수목적회사(SPC)를 만든다. 증권사는 이 SPC에 자금을 빌려주고 수수료 수익을 취한다. SPC는 빌린 자금으로 지분을 사들이고, 지분 보유에 따른 이익과 손실 등은 인수기업이 갖는다. 사실상 대출을 일으키는 것과 유사한 구조를 만드는 셈이다. (자본시장부 정선영 기자)
나만의 도서관, 참조 레퍼런스 나만의 도서관, 참조 레퍼런스
1. 이자율스왑의 종류
1. 표준형(plain vanilla)스왑
- 스왑거래가 처음 생성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스왑거래는 당사자 간의 대출교환계약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계약조건을 표준화시키기가 어려웠으나, 이자율 스왑거래가 크게 늘어나면서 스왑유통시장이 형성되었고, 유통시장 거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계약조건의 표준화가 진전되었다.- 이와 같은 표준적인 계약조건에 따르는 스왑형태를 표준형 스왑이라고 부르며, 표준형 스왑은 시장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개 다음의 조건을 충족한다
a) 고정금리 조건은 만기까지 동일하게 적용된다.
b) 변동금리는 3M 혹은 6M Libor 로 하고 가산금리가 붙지 않는다.
c) 명목원금은 계약기간 내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d) 계약의 효력은 spot date부터 발생하며 만기일에 종료된다.
e) 계약에 정한 금리 외에 별도의 지급은 없다.
- 이상의 표준적 조건을 따르지 않는 형태를 비표준형 혹은 비정형 스왑이라고 한다.1. 베이시스 스왑(Basis Swap)
-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표준형 이자율스왑과는 달리 베이시스 스왑은 2가지 변동금리를 상호 교환하는 스왑이다. Libor, 단기 재무부채권 수익률(T-bill rate),미국 우대금리(prime rate) 등 서로 다른 시장의 변동금리를 교환한다.
- 베이시스 스왑에는 단순한 동일 통화 내에서의 베이시스 스왑과 이종통화 간의 베이시스 스왑의 두 종류가 있다.* B은행의 확정금리수익 2.60%
2. 제로쿠폰 스왑(Zero-coupon Swap)
- 이자율스왑과 유사하나 고정금리 지급이 매번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기에 일시 지급된다는 점이 다르다. 제로쿠폰 스왑 계약이 일어나면, 거래시점의 수익률로 만기에 수취하는 금액을 일시에 확정시킬 수 있다.3. 원금변동형 스왑
- 표준형 이자율스왑 거래에서는 만기까지 명목원금이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이자율스왑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목원금이 변화하는 형태의 스왑이 있을 수 있다.
- 이 중 스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목원금이 증가하는 것이 ‘원금증가형 스왑'이고, 스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목원금이 감소하는 것이 ‘원금감소형 스왑’이라 한다. 한편, 기간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는 것을 ‘롤러코스터 스왑’이라고 한다.
- 원금증가형 스왑은 특정 사업을 계속하는 동안 사업이 진행될수록 필요자금이 점점 증가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 원금감소형 스왑은 분할상환 조건의 자금차입과 연계하여 스왑을 실행한 경우 차입금 감소에 따라 스왑원금도 감소해야 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 특정 프로젝트를 위한 자본조달을 위해 처음에는 차입액을 늘려나가다가 단계적으로 차입을 상환해 나가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에서 롤러코스터 스왑을 활용해 미상환차입금과 스왑의 명목원금을 대응시킬 수 있다.4. Step-up, Step-down Swap
- 원금변동형 스왑은 시간이 지남에 스왑의 정의 따라 명목원금이 변화하는 형태에 비해 step-up 혹은 step-down 스왑은 명목원금은 만기까지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변동금리와 교환되는 고정금리가 표준스왑과 달리 몇 단계로 나뉘어 커지거나 작아지는 스왑이다.
5. 선도스왑(Forward Start Swap / Deferred Start Swap)
- 표준형 스왑의 정의 스왑의 정의 스왑의 이자계산은 spot date 로부터 시작되지만 선도스왑은 spot date 이후 특정일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선도스왑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 혹은 부채의 현금흐름의 금리리스크를 헤지하거나, 현재 존재하고 있는 자산 혹은 부채의 금리리스크를 일정기간 스왑의 정의 동안에는 리스크에 노출시키고 향후 특정시점부터는 헤지하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다.6. Libor in-arrear 스왑
- 표준형 스왑에서의 변동금리 적용은 해당 이자계산 기간 시작일의 2영업일 전에 변동금리가 결정되고 이자지급은 후취되는 데 반해, Libor in-arrear 스왑은 이자계산 기간 종료일의 2영업일 전에 결정되는 변동금리를 기준으로 변동금리 이자가 결정되는 스왑이다.
-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스왑거래가 필요한 기업이 향후 변동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표준형 스왑 보다 Libor in-arrear 스왑에서 결정되는 변동금리가 더 낮고, 지급하는 이자 금액을 줄일 수 있다.
* 1st Libor 결정하는 시점이 다르다.
- 표준형 스왑에서 고정금리와 교환되는 변동금리 지표는 달러화 6개월 Libor 혹은 원화 91일물 CD금리이다.
- 변동금리 지표는 단기금리로 듀레이션이 짧다. 반면, CMS스왑(Constant Maturity Swap)은 고정금리와 교환되는 스왑의 정의 변동금리 지표가 향후 시장에 따라 변하는 특정만기의 이자율스왑 금리이다. CMS금리는 5yr CMS, 10yr CMS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 듀레이션이 단기금리 지표보다 장기이므로 금리민감도가 표준형스왑보다 크다.
8. Over-night Index Swap
- OIS 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가 서로 교환된다는 점에서는 표준형 스왑과 동일하다. 그러나 변동금리의 지표에 3개월 혹은 6개월 Libor 금리가 아니라 1일의 over-night 금리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OIS는 1년 미만의 단기 거래이다.
- 고정금리를 지급하는 대신 이자계산 기간 동안 매일의 Over-night Libor을 복리계산하여 수취하게 된다.9. Callable, Puttable, Extendible 스왑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한 다음, 일정기간 경과 후 고정금리 지급자가 기준 스왑 포지션을 ‘취소’할 수 있는 옵션이 추가된 스왑이다. 고정금리가 기존의 스왑보다 더 높지만 변동금리가 떨어지면 스왑을 중지할 수 있다.
* 2 X 5 Callable 스왑이라고 하면 이것은 2년 이후에 취소 가능한 5년짜리 스왑이다. 잔존만기가 3년이 남았을 때부터 취소가 가능하다.
* 스왑은행은 Callable 스왑 포지션 헤지를 위해 발행자 조기상환권부 채권(Callable Bond)를 발행해야 하고, 이는 채권투자에서 동일 만기의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으므로, Callable 스왑 역시 고정금리가 더 높아진다.
반대로, 고정금리 수취자가 취소권을 가지고 있는 스왑을 Puttable Swap이라고 한다. 고정금리가 기존의 스왑보다 더 낮고, 변동금리가 높아지면 스왑을 중지할 수 있다.
* 2 X 5 Puttable 스왑이라고 한다.
* 스왑은행은 조기상환권부 채권(Puttable Bond)를 매입해야 하는 바, 그 수익률은 동일만기의 일반 채권보다 더 낮기 때문에 스왑에서 고정금리가 더 낮아진다.
- 스왑션은 스왑을 할 수 있는 권리, 즉 스왑에 대한 옵션거래의 일종이다. 고정금리를 지급하는 스왑을 할 수 있는 권리는 payer's swaption이라 하고,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스왑을 할 수 있는 권리를 receiver's swaption이라고 한다.
- 2 X 3 payer's swaption을 예로 들면 이것은 2년 뒤에 3년짜리 고정금리 지급 스왑을 할 수 있는 권리이다. 옵션 만기 2년 시점에서 3년짜리 스왑금리가 행사금리 이상이면 행사금리를 지급하는 이자율스왑 거래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 Payer's Swaption은 지급금리를 고정시키는 옵션이므로 금리상한계약(Cap매수)과 비슷하다.
- 마찬가지 논리로 Receiver's Swaption은 금리하한계약(Floor매수)와 비슷하다.
2. 통화스왑
1. 통화스왑이란
a) 양 거래당사자간의 계약으로서b) 각 거래당사자는 거래초기에 상대방에게 이종통화간 원금을 교환하고
c) 스왑기간 중 상대방에게 주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되,
- 미래의 일정기간마다 특정시점에 초기에 교환한 통화의 원금에 대하여
- 수취한 원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고 지급한 원금에 대해서는 이자를 수취하기로 약정하는데
- 한쪽은 고정금리이고 다른 한쪽은 변동금리이거나, 양쪽 다 고정금리 혹은 변동금리일 수도 있으며d) 만기시에는 초기의 원금교환과 반대방향의 원금교환을 하게 된다.
* 만기시 교환되는 원금에 대한 적용환율이 다르다는 점이 통화스왑과 외환스왑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외환스왑 거래에서는 계약기간 중 이자 교환(금리차 정산) 없이, 두 통화 금리차이를 ‘선물환율’을 통한 만기 원금교환으로 정산된다.
* 통화스왑 거래에서는 스왑기간 중 두 통화의 금리 차이를 이자지급을 통해 교환하고, 스왑만기 시 거래초기의 환율(현물환율)을 그대로 사용하여 원금을 재교환하게 된다.
*통상 계약기간이 단기인 경우는 선물환이나 외환스왑으로 거래되고, 장기인 경우에는 통화스왑의 형태로 거래된다. 선물환, 외환스왑, 통화스왑은 계약 기간 중 금리를 교환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거래형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두 통화의 원금을 만기에 교환한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성격의 상품이다.
- 통화스왑 시장에서는 이자율스왑과 같이 변동금리와 교환되는 고정금리의 절대금리를 고시하는 방법과, 두 통화의 변동금리의 베이시스 형식으로 고시하는 방법이 있다.
- 고정금리를 고시하는 방법에서는 ‘미달러화 변동금리’와 교환되는 ‘이종통화의 고정금리’를 고시한다.
- 베이시스 형식으로 고시되는 방법에서는 ‘미달려화 변동금리’와 교환되는 ‘이종통화 변동금리’에 가산되는 스프레드를 고시한다.
* [고정금리] 달러/엔 통화스왑 금리 '0.12 / 0.08’ 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자. 이는 통화 스왑딜러가 미달러화 6month Libor와 교환되는 엔화 고정금리를 나타낸 것이다. 딜러는 2년간 미달러화 6month Libor flat을 지급하고, 0.12%의 엔화고정금리를 수취한다. 반대로, 미달러화 6month Libor flat을 수취할 때는, 엔화 고정금리를 0.08% 지급한다.
* [베이시스] 스왑의 정의 2년 만기 달러/엔 베이시스 통화스왑 '-0.01 / -0.08’ 고시된 것을 보자. 이는 미달러화 6month Libor Flat과 교환되는 엔화 6month Libor에 추가되는 '스프레드’ 이다. 즉, 딜러가 엔화를 받을 때는 엔화 6month Libor - 0.01%을 받고, 엔화를 줄 때는 6month Libor - 0.08%을 지급하겠다는 의미이다.
HeBhy, since 1983.
금리스왑은 일정한 명목원금에 대해서 미리 합의한 기간 동안에 고정이자와 변동이자를 서로 맞교환 하는 계약을 말한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는 대부분의 자금을 단기로 차입 하고 신용도도 상대적으로 낮다고 해보자. 이 회사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이자율이 상승하리라고 예상 하고 이자율 상승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싶어한다. 여기에 대한 한가지 해법은 금리스왑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이 계약에서 회사 A는 자신의 부채총액에 대응하는 액수만큼의 명목원금에 대해서 변동금리 이자를 받고 고정금리 이자를 지급 하는 스왑구조를 가지면 된다. 일반적으로 기관들을 금리스왑에 끌어들이는 동기는 바로 신용도의 차이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어떤 기관들은 장기 차입금의 금리보다 단기 차입금의 금리가 더 쌀 수도 있고, 어떤 기관들은 장기 금리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신용도에 기인한 장/단기 금리차가 기관들로 하여금 금리스왑을 이용하게 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 또한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라는 것은 일정 기간동안에 차입한 자금을 갚을 수 있는 능력 을 말하는 것으로써, 어떤 회사가 신용도가 좋다는 것은 신용도가 낮은 회사보다는 빌린 돈을 값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용도는 자금대여 기간에 따라서도 다른데, 그 이유는 차입자의 신용도가 낮을 경우 자금 대여자는 거래 상대방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장기대여보다는 단기대여를 선호하기 때문 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용도가 낮은 기관의 경우 금리스왑을 이용하면 비교적 장기의 자금을 비교적 유리한 이자율로 차입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스왑의 가격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구할 수 있다:
1. 미래 현금흐름을 분석한다. 대부분의 경우 현금흐름은 일정 단위기간 동안에 들어오는 현금흐름과 나가는 현금흐름으로 나눈다.
2. 국채의 수익률 곡선과 스왑 스프레드 곡선으로부터 스왑 곡선을 만든다.
3. 스왑 곡선으로부터 무이표채 수익률 곡선을 만든다.
4. 무이표채 수익률 곡선을 이용해서 할인율을 구한 뒤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를 구한다.여기서 스왑 스프레드라는 것은 시장 조성자가 공시하는데 스왑거래에 포함되어 있는 신용위험을 고려해서 고정 이자를 받는 쪽에 보상해 주는 추가 금리이다. 따라서 스왑 스프레드는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에 따라서 스왑의 정의 변하게 된다(신용도가 좋으면 스프레드는 작고, 신용도가 나쁘면 스프레드는 커진다).
옵션과 마찬가지로 스왑도 내가격(in-the-money), 외가격(out-of-the-money), 등가격(at-the-money)이 있다. 대부분의 스왑은 거래 초기에 등가격이 되도록, 즉 고정이자율 현금흐름의 현가와 변동이자율 현금흐름의 현가가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자율은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왑의 가치도 변하게 된다.
통화스왑 이란 두 거래 당사자가 일정한 계약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일정한 원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교환하기로 스왑의 정의 하는 계약을 말한다. 보통의 통화스왑은 계약시점에 한번, 만기에 다시 한번 원금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화스왑은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가장 일반적인 통화스왑으로 서로 다른 통화간의 고정금리를 교환하는 스왑 이고, 스왑의 정의 두 번째는 서로 다른 통화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스왑으로 이를 흔히 크로스 커런시 스왑 ,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서로 다른 통화의 변동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스왑으로 이를 흔히 크로스 커런시 베이시스 스왑 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통화스왑의 경우는 다음의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1) 1단계 : 최초 원금 교환
(2) 2단계 : 이자 교환
(3) 3단계 : 원금의 재교환
3. 금리스왑의 변형
: 기본적 스왑(Plain Vanilla Swap)으로부터 파생된 스왑들1) 액면감소(Amortizing) 또는 액면증가(Accreting) 스왑
스왑의 명목상 액면(Notional Principal)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스왑2) 베이시스 스왑(Basis Swap)
변동금리 대 변동금리 스왑(변동금리의 베이스가 서로 다른 스왑)3) 이율곡선 스왑(Yield Curve Swap)
변동금리 대 변동금리 스왑, 장기 변동금리의 교환이 중심인 스왑4) 제로쿠폰 스왑(Zero Coupon Swap)
기본 스왑과 마찬가지로 변동금리 대 고정금리의 스왑이지만 고정금리 지급자( Payer) 스왑만기 이전에는 현금지급이 없고 스왑의 만기에 가서 고정금리를 일시에 지급하는 형태5) 선도스왑(Forward Swap)
=지연스왑(Deferred Swap), 스왑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자체는 스왑의 계약과 동시에 확정이 되나 스왑의 실행은 상당 기간의 경과 후로 미루는 형태6) 조기행사가능 스왑(Callable Swap, Putable Swap)
만기 이전에 일방이 스왑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는 스왑 종류
- Callable Swap : 고정금리 지급자가 스왑계약을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는 스왑
- Putable Swap : 변동금리 지급자가 만기 이전에 스왑계약을 종결시킬 수 있는 스왑7) Extendable Swap
스왑거래의 일방이 스왑계약을 연장시킬 수 있음스왑의 정의
이 사이트(www.kiri.or.kr)는 보험연구원의 소유 입니다.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보험연구원은 회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고객정보 외에는 불필요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단, 필수 기재 항목 외에 선택항목에 대한 정보 수집은 예외로 합니다.) 회원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회원가입 및 이용 ID 발급, 회원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계약의 성립 또는 인구 통계학적 분석 (회원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 통계 분석),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방침에 반영 (서비스 개편 및 확대) , 기타 새로운 서비스, 행사나 자료 정보 안내에만 사용될 것입니다. 회원으로 가입할 때 수집된 모든 정보는 해당 서비스 제공이나 회원님께 사전에 밝힌 목적 이외의 다른 어떠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필수정보 :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전화번호, 직업, 직급, 부서, 이메일, 뉴스레터 수령여부
기타 : 홈페이지 가입경로, 흥미사항, 보험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구분사항회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회원의 개인 정보는 회원이 로그인 했을 경우에만 보이며, 이것은 회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왑의 정의 회원에게 부여된 회원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특수한 경우, 허가 받은 관리자만이 회원 정보를 수정, 조회하고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정정 방법과 절차
회원은 자신이 제공한 회원 정보를 열람 할 수 있으며, 수정을 요구할 권리와 삭제를 할 권리(탈퇴의 권리포함)가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수정은 회원정보 수정을 통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언제든지 하실 수 있습니다. (단, 회원정보 수정의 경우, 아이디나 성명, 주민등록 번호의 변경은 가입회원 실명제 정책에 따라 회원님께서 직접 수정하실 수 없으나, 보험연구원(http://www.kiri.or.kr)의 관리자 ([email protected]) 에게 메일로 요청하면 24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보험연구원에서는 회원가입을 원하시는 고객에게 보험연구원의 개인정보취급방침 또는 이용약관 내용에 대해 혹은 버튼을 클릭 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 한 것으로 봅니다.
회원가입 가입과 탈퇴의 자유
회원가입은 반드시 이용약관의 동의 절차를 거치며, 회원 탈퇴 시에도 탈퇴에 따른 개인정보의 폐기와 회원으로서 권리소멸 등을 명확히 고지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탈퇴를 희망할 시에는 사이트의 회원탈퇴 메뉴를 통해 정해진 순서에 의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메일로 요청하시면 처리 됩니다. (* 주의 : 회원 탈퇴를 하시면 그 즉시 모든 고객정보와 기록이 재생 불가능 하도록 폐기되며, 아이디 및 기타 정보 사항의 권리도 함께 사라집니다.따라서 복구 요청 시 불가능 하므로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과 공유 및 3자 제공
회원의 개인정보는 보험연구원 회원으로서 서비스를 받는 동안 계속 보유하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합니다. 회원의 정보는 회원 탈퇴 시 재생이 불가능 하도록 완전 삭제 됩니다. 회원님의 개인정보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타인에게 제공, 활용시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정보입니다. 보험연구원은 법률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님의 동의 없이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관리
보험연구원은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각종 활동에 대하여 회원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 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와 관련한 불만이 있으신 분은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의견을 주시면 즉시 접수,조치하여 처리결과를 통보해 드립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김형길
직위 : 담당역
전화 : 02-3775-9119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38 (여의도동 35-4)
이메일 : [email protected]평일 : 09:00~ 18:00
토요일 및 휴일 제외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보험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하 "KIRI"라 합니 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에 관 한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정의
(1) "KIRI"이란 보험연구원이 운영하는 사이트 ( http://www.kiri.or.kr )를 말합니다.
(2) "이용자"란 KIRI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KIRI"가 제공 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또는 비회원을 말합니다.
(3) "회원"이라 함은 "KIRI"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등록을 한 자로서 "KIRI"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으며,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를 말합니 다.
(4) "비회원"이라 함은 회원에 가입하지 않고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말합니다.제3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본 약관은 이용자에게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보험연구원은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KIRI" 화면에 별도 공지하게 됩니다.
이용자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인의 회원등록을 취소할 수 있으며, 계속 사용하는 경우는 약관 변경에 대한 동의로 간주됩니다.
변경된 약관은 전항과 같은 방법으로 효력을 발생합니다.제4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 국내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 을 경우에는 그 규정에 따릅니다.
제2장 회원 가입과 서비스 이용
제1조 이용 계약의 성립
(1) 이용 계약은 이용자의 이용 신청에 대한 보험연구원의 이용 승낙과 이용자의 약관 내용에 대한 동의로 성립됩니다. (2) 회원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희망자는 보험 연구원에서 요청하는 개인 신상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용자가 제공한 개인정보는 본 약관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 다.
제2조 이용 신청의 제한
(1) 보험연구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신청에 대하 여는 이를 승낙하지 아니합니다.
①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스왑의 정의 신청하였을 때
② 이용 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여 신청하였을 때
③ 사회의 안녕 질서 혹은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하 였을 때
④ 부당한 목적으로 회원의 가입 탈퇴를 월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
⑤ 기타 보험연구원이 스왑의 정의 정한 이용 신청 요건이 미비되었을 때제3조 서비스 이용
(1) 서비스 이용은 보험연구원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 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제1항의 이용시간은 정기점검 등의 필요로 인하여 보험연구 원이 정한 날 또는 시간은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3) 제2항의 경우에는 사전에 중단 사유와 기간을 공고합니다. 다만,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전공고는 생략될 수 있 습니다.제3장 책임
제1조 보험연구원의 의무
(1) 보험연구원은 이 약관에서 정한 바에 따라 계속적, 안정적 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보험연구원은 이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본인의 승낙없이 타 인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기통신관련법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관계 국가기 관 등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3) 보험연구원은 이용자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 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즉시 처리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 자우편을 발송하지 않습니다.제2조 이용자의 의무
(1)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모든 관리의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자신의 아이디가 부정하게 사용된 경우, 이용자는 반드시 보 험연구원에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3) 비밀번호 분실시 통보는 e-mail로 안내하며, 제 2항의 규정 에도 불구하고 회원의 e-mail 주소 기입 잘못 등 본인 과실 및 본인 정보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문제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4) 이용자는 이 약관 및 관계법령에 규정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제4장 계약 해지 및 서비스 이용제한
제1조 계약 해지 및 이용제한
이용자가 이용 계약을 해지 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용자 본인이 직접 온라인을 통해 회원탈퇴 메뉴를 선택하여 해지 신청을 하 여야 합니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 우 사전 통지 없이 이용 계약을 해지하거나 또는 기간을 정하여 서비스 이용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1) 공공 질서 및 미풍 양속에 반하는 경우
(2) 범죄적 행위에 관련되는 경우
(3) 이용자가 국익 또는 사회적 공익을 저해할 목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계획 또는 실행할 경우
(4) 타인의 서비스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도용한 경우
(5)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
(6) 같은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로 이중 등록을 한 경우
(7) 서비스에 위해를 가하는 등 서비스의 건전한 이용을 저해하 는 경우
(8) 기타 관련법령이나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조건을 위배하는 경우제2조 이용 제한의 해제 절차
(1) 보험연구원은 제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제한을 하고자 하 는 경우에는 그 사유, 일시 및 기간을 정하여 서면 스왑의 정의 또는 회 원등록시 기재한 전화나 e-mail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해당 이용자 또는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다만, 보험연구원이 긴급하게 이용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정지의 통지를 받은 이용자 또 스왑의 정의 는 그 대리인은 그 이용정지의 통지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3) 보험연구원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에 대하여 그 확인을 위한 기간까지 이용정지를 연기할수 있으며, 그 결과 를 이용자 또는 그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정지 기간 중에 그 이용정지 사유가 해소 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이용정지 조치를 즉시 해제합니다.제3조 이용자의 게시물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없이 삭 제 할 수 있습니다.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 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인 경우
(3) 범죄적 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내용인 경우 스왑의 정의
(4)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5) 기타 관계 법령이나 보험연구원에서 정한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제5장 저작권의 귀속
(1) "KIRI"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 권은 보험연구원에 귀속합니다.
(2) 이용자는 "KIRI"(이메일서비스 포함)를 이용함으로써 얻은 정 보를 보험연구원의 사전 승낙없이 복제, 송신, 출판, 재배포, 방송, 기타 방법에 의하여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3) "KIRI"에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다른 사이트의 비밀 보장과 그 사이트의 내용에 관해서 보험연구원은 책임지지 않습니 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 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제1조 시행일
이 약관은 2008년 6월27일 부터 시행합니다.보험연구원은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 2, 제50조의 7 등에 의거하여 본 웹사이트에 개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체메뉴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