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이 글로벌 투자은행(IB)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와 제휴해 ‘신한크레디트스위스보안펀드’와 ‘신한크레디트스위스환경펀드’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상품은 글로벌 운용사의 우수한 펀드를 발굴해 국내에 재간접펀드로 판매하는 화이트라벨링 방식의 펀드다. 한국투자증권이 크레디트스위스와 상품 및 자산관리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 재간접펀드 설정 및 운용은 투자 포트폴리오 신한자산운용이 맡았다.
신한크레디트스위스보안펀드는 크레디트스위스자산운용의 ‘시큐리티 에쿼티 펀드(Security Equity Fund)’에 투자한다. IT보안·범죄예방·교통안전·질병예방·유해시설관리 등 안전·보안 테마의 혁신기술과 성장주에 투자해 장기수익을 추구한다.
신한크레디트스위스환경펀드는 환경 효율성과 제품 성능을 바탕으로 전력 생태계에 전환을 이끌 기업에 투자하는 ‘인바이론멘탈 임팩트 에쿼티 펀드(Environmental Impact Equity 투자 포트폴리오 Fund)’의 재간접펀드다. 환경이슈 별 세무 테마를 선정하고,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분석을 통해 기업의 환경 영향력을 측정해 포트폴리오 구성에 반영한다.
크레디트스위스의 테마 펀드는 한 가지 사업에 집중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퓨어 플레이(pure-play)’ 전략으로 매출의 50% 이상이 각 테마에서 발생하는 기업을 투자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가운데 경영진 수준, 혁신성, 재무건전성, 경쟁력, ESG 역량 투자 포트폴리오 등을 평가하는 ‘펀더멘탈 스코어카드’를 활용, 세부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김성환 개인고객그룹장은 “크레디트스위스의 안정적인 운용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 포트폴리오 조직과 입증된 테마형 종목 선정 능력이 국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수익률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크레디트스위스의 테마형 펀드 4개를 추가로 화이트라벨링 펀드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I'테크]KB증권, 글로벌 자산배분을 ETF로…‘KB able 심포니 EMP 랩’
‘KB able 심포니 EMP 랩’은 KB증권의 House View를 바탕으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글로벌 자산배분 효과에 따라 낮은 변동성을 유지하면서, 꾸준한 수익 창출을 추구한다.
글로벌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는 글로벌 물가 상승을 헤지(Hedge) 할 수 있는 수단이며, 꾸준한 자산 증식을 위한 필수 포트폴리오가 되고 있다. 트레이딩 개념의 단기투자보다는 글로벌 자산 투자의 필요성을 고려한 중장기적 투자의 관점에서의 투자에 적합하다.
투자자산은 자산간, 지역간 상관관계 및 리스크·리턴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 최적화 과정을 통해 편입 ETF(상장지수펀드)의 최적 비중을 배분하게 된다. 주요 편입 자산으로는 미국상장 글로벌 ETF가 대상이 되지만, 투자 대상에 따라 한국 및 미국 이외 거래소에 상장된 ETF 및 개별주식도 일부 활용될 수 있다.
해당 상품의 가장 큰 차별점은 달러 기준이 아닌 원화 환산과 총수익(배당 재투자 가정) 관점의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 얻을 수 있는 기대 수익률 (Return)과 위험도 (Risk)를 반영했다는 점이다.
투자대상은 우선적으로 KB증권 House View를 바탕으로 중장기 전략적 자산배분(SAA) 기반의 자산군 별 비중 배분 실시해 코어(Core) 자산군 및 투자지역을 선정하고, 글로벌 벤치마크 지수의 국가별 비중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비중을 설정한다. 그리고 낮은 변동성과 장기적으로 꾸준한 수익 추구를 목표로 하는 패시브 성향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
또 전술적 자산배분을 통해 중단기 관점의 포트폴리오 전술(TAA)을 설정하고 기대수익률과 초과수익에 초점을 맞춘 액티브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 그리고 시가총액, 모멘텀, 변동성 등의 요인들과 함께 성장, 배당 등 스마트 베타를 활용한 스타일 전략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포트폴리오의 최종 편입 ETF 선정 및 최적화 비중을 결정하고, ETF의 원화환산 기준 리스크·리턴 프로파일과 국내외 상장여부 및 적합도 등을 고려해 최종 편입 ETF의 포트폴리오 비중 최적화를 통해 포트폴리오로 운용한다.
KB able 심포니 EMP랩의 최소가입금액은 1000만 원이며, Wrap fee(수수료)는 선취 1.0% (최초 또는 추가 입금시) + 후취 연 0.1% (분기단위 후취), 계약기간은 1년 이상이다. 중도해지(가입 1년 이내 해지)시 선취수수료 환급액의 70% 징수하며, 현금해지, 전환해지(자산을 보유한 채로 해지)도 가능하다
투자 포트폴리오
네브래스카 주에 위치한 모놀리스의 투자 포트폴리오 첫 번째 청정 수소 생산 시설. 사진제공/SK
[팍스넷뉴스 김진배 기자] SK E&S가 미국 청록수소 기업 모놀리스 머테리얼즈(모놀리스)에 투자를 결정하고 친환경 수소사업을 확장한다.
SK E&S는 18일 청록수소 상업화에 성공한 미국 수소기업 모놀리스에 약 330억원(2500만 달러)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미국 투자 포트폴리오 네브라스카 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모놀리스는 청록수소 분야 선도 기업으로, 청록수소 생산 핵심기술인 열분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업화 단계에 접어든 공정기술을 갖추고 있다.
모놀리스는 지난해 SK㈜가 투자한 이후,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10억달러(약 1조3260억원) 규모 성장 자금 대출 약정서를 체결한 바 있다. 또한 굿이어(Good Year)를 포함한 타이어 회사들과 카본블랙 판매 협약을 맺는 등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투자로 SK E&S는 SK그룹에서 수소사업을 추진하는 핵심 멤버사로 블루·그린 수소에 이어 청록수소까지 수소생산의 모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향후 청록수소 사업 추진에 있어 그룹차원의 시너지까지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모놀리스가 생산하는 청록수소는 천연가스(CH4)를 열분해해 수소(H2)와 고체탄소(C)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블루·그린수소와 함께 친환경 수소로 분류되고 있다.
청록수소 생산 과정에서 함께 생산되는 고체탄소는 타이어 주성분인 카본블랙(Carbon Black), 제철용 코크스 등으로 사용된다. 카본블랙은 탄소 감축이 필요한 타이어 업계를 중심으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크스는 제철소 제선 공정에서 환원제 및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고체 탄소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SK E&S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모놀리스의 청록수소 기술 경쟁력과 SK E&S의 수소사업 역량을 결합해 국내에서 사업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 E&S는 모놀리스와 아시아 사업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도 진행 중이다.
권형균 SK E&S 수소사업개발그룹장은 "청록수소는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며 "SK E&S가 추진하고 있는 블루·그린수소 사업 역량을 청록수소에도 적용해 수소사업 포트폴리오를 최적화 하는데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스카이브릿지, “청산위험 없다” …펀드 자금 인출 중단
스카이브릿지 CEO 안소니 스카라무치는 “펀드 청산 위험은 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문제가 된 펀드는 스카이브릿지의 리존 스트래티지 펀드 중 18%로 운용 규모는 2억5000만 달러다.
이 펀드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FTX와 같은 거래소 등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스카라무치는 CBNC와 인터뷰에서 펀드 인출 중단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서로 다른 요소들 간에 균형을 생각해야만 한다. 비상장 기업들에 대한 투자 지분이 있고, 환매 요구로 인해 중도에 투자 포트폴리오를 바꾸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펀드 운영 이사회가 자금을 조달할 때까지 펀드 인출을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다. 투자금을 회수하고 싶은 사람들은 질서 있게 나갈 것이며, 포트폴리오도 유지될 것이다. 펀드에 남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손해가 가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스카라무치에 따르면 해당 펀드는 올해 들어 30% 손실을 봤으나, 이달에는 5% 회복세를 보였다. 스카라무치는 골드만삭스 출신으로 암호화폐 열성 지지자이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백악관 공보실장을 지내기도 했다.
투자 포트폴리오
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석유 관련주에 관심을 두되 암호화폐 투자 는 지양하라고 시사했다. 먼저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보유량을 축적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멍거는 “기업가치가 높은 사업체들은 점점 주가가 높아지는 상황이고, 버크셔 해서웨이는 아직 추가로 매수할 기업을 찾지 못했다”며 현금 보유량을 높여가고 있는 배경에 대해.
ㅣ 버핏처럼 투자한다면 … "지금이 메타·알파벳 매수 적기"_[나민호·홍성진이 전하는 투자 전략] / 07월 20일 제공 | 유튜브 [글로벌 진출· 투자 파트너, 한경 KVINA] · 문의 : 02-2039-200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톡플러스친구 : KVINA biz center
통해 얻은 자금을 또 다른 유망 신사업에 투자 해 기업 가치를 키워가는 구조를 지향할 것이란 설명이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이 이끄는 미국 벅셔해서웨이, 스웨덴 발렌베리가문의 투자 지주회사 인베스터AB 등이 이런 구조다. SK스퀘어는 출범 이후 투자 만 벌였다. 메타버스, 가상인간, 데이터 농업, 암호화폐 등.
등 투자 를 지속해왔다. 업계는 이번 거래를 SK스퀘어의 ‘포트폴리오 인앤아웃’ 전략의 본격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SK스퀘어는 시장 상황이나 사업 방향 등에 따라 유연하게 포트폴리오를 조절하는 투자 전문기업이 목표다. 일부 자산에 대해선 투자 수익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얻은 자금을 또다른 유망 신사업에 투자 해.
낙폭이 지나치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치 투자 의 대가’ 워런 버핏 벅셔해서워이 최고경영자(CEO)투자 포트폴리오 의 투자 법대로 기업 내재 가치보다 시장 가치가 현저히 낮은 지금 이들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지난 17일 CNBC에 따르면 글로벌 리서치업체 모닝스타의 데이비드 세케라 수석 미국시장 전략가는 “나스닥지수가 올.
낙폭이 지나치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치 투자 의 대가' 워런 버핏 의 투자 법대로 기업 내재 가치보다 시장 가치가 현저히 낮은 지금 이들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글로벌 리서치업체 모닝스타의 데이비드 세케라 수석 미국 시장 전략가는 "나스닥 지수가 올해 들어 28%.
올리는 고배당주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투자 의 대가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고배당주에 관심이 쏠린다. 18일(현지시간) 매체 벤징가에 따르면 워런 버핏 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50개 가까운 기업 중 가장 높은 배당률을 보이는 주식들은 스토어 캐피털,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씨티그룹, 크래프트 하인.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 리서치사 모닝스타의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세케라는 “현재 시장 가치보다 훨씬 높은 내재적 가치를 지닌 주식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전통적인 가치 투자 자 워런 버핏 의 전략”이라며 팡주 중에서도 메타를 매수할 때라고 전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긴축.
과거 버핏 이 중국 정유사 페트로차이나 매각 때처럼 지연 공시를 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2007년 버핏 은 페트로차이나 주식 전량을 처분하면서 매각설에 함구해 논란이 일었는데요. 그해 7월부터 9월까지 7차례나 페트로차이나 보유 지분을 줄이고 10월 전량 매도하는 과정에서 신고를 보름 가까이 늦게.
ㅣ끝없는 석유 사랑… 버핏 , 옥시덴털 또 샀다_[나민호·홍성진이 전하는 투자 전략] / 07월 15일 제공 | 유튜브 [글로벌 진출· 투자 파트너, 한경 KVINA] · 문의 : 02-2039-200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톡플러스친구 : KVINA biz center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