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보조지표 보는법 : 매매 방법은?
기술적 분석을 이용하여 투자를 하는 경우 봉차트와 함께 보조지표를 사용하게 됩니다. 보조지표의 종류는 실로 다양합니다만, 그중에서도 오랜 시간 사랑을 받아온 보조지표 몇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인 RSI가 있죠. 이번 글에서는 RSI 계산식과 보조지표 보는법, 그리고 RSI를 활용한 매매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SI란?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는 상승하려는 힘과 하락하려는 힘의 상대적인 강도를 표현해주는 보조지표로, 현재 가격의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1978년 미국의 웰리스 윌더가 개발하였으며, 오랜 기간 기술적 분석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RSI" 뿐만 아니라 "파라볼릭", "DMI", "ADX" 그리고 특히 시스템 트레이딩에서 자주 활용되는 "ATR" 등, 지금까지도 많이 사랑받는 보조 지표를 만든 것으로 유명한 분입니다. 해당 지표들은 1978년도 발간한 책인 "New Concepts In Techinical Trading Systems"에 수록되어 있으며 구글에서 검색하면 PDF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w Concept In Technical Trading Systems
참고로 책을 보면 직접 수작업으로 수식도 계산하고, 지표 표시도 손으로 그린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파라볼릭도 수작업(?)으로 RSI 지표 한 듯 한 느낌이. ;;;
1.1 RSI 계산식
먼저 계산식을 살펴볼까요? 웰리스 윌더의 책에 나온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수식을 약간 풀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U : 종가가 상승한 날의 상승폭 (하락한 날에는 0)
- D : 종가가 하락한 날의 하락폭 (상승한 날에는 0)
- AU : 14일 동안 U의 평균
- AD : 14일 동안 D의 평균
※ 하락폭 D는 - 값이 아닌 + 값으로 계산
위의 값을 이용하면, RSI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RSI 지표 수식을 보면 평균값이 사용되는것을 알 수 있는데요, 윌더의 책에서는 평균을 취하는 방법으로 SMMA (Smoothed Moving Average) 방식을 이용하였습니다. SMMA에서 AU와 A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U = ( AU 이전값 × 13 + U ) / 14
AD = ( AD 이전값 × 13 + D ) / 14
※ 13은 (period - 1)에 RSI 지표 해당하는 값임
즉, SMMA에서는 이전의 평균값이 새로운 평균값을 계산하는데 포함됩니다.
※ RSI 모양이 다른 경우?
인터넷에 주로 알려진 수식은 단순 이동평균 (SMA)를 적용한 것 입니다. 이를 RSI RSI 지표 지표 Cutler RSI라고 부르는데 아마도 모눈종이에 차트 그리던 시절, SMMA를 계산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SMA를 적용한 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100% 뇌피셜!)
Cutler RSI는 단순 이동평균을 사용하므로, 합계로 계산해도 동일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둘 중 어느 계산방식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지표의 모양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네이버 차트에서는 Wilder 방식을 사용하고 있네요.
SMMA는 period 이전의 값도 현재의 AU, AD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SMA를 사용하는 Cutler의 RSI보다 Wilder의 RSI가 조금 완만하게 반응합니다.
점선: cutler, 실선: wilder
1.2 RSI의 의미
사실 RSI 수식의 개념은 매우 간단한 편입니다. 수식만으로 생각해보면 일정기간 동안의 가격 움직임 폭에서 상승한 폭이 차지하는 비율로 생각할 수 있으며, 0 ~ 100(%)의 값을 갖게 됩니다. 가격이 극단적으로 상승만 했다면 100%에 가까운 값이, 극단적으로 하락을 했다면 0%에 가까운 값이 나오게 되겠죠.
일반적으로 RSI 값이 클수록 주가가 상승하려는 힘이 크다고 해석하며, 반대로 작을수록 주가의 하락하려는 힘이 크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2. RSI 보조지표 보는법
앞의 수식에서 살펴보았듯이 RSI의 개념은 단순한 편입니다. 하지만 복잡하다고 좋은 지표는 아닌 것처럼, 단순하다고 쓸모없는 지표는 아니겠죠.
RSI 보조지표는 인디케이터와 함께 2개의 평행선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개의 평행선은 보통 30%와 70%에 해당하는 부분에 그어주게 되는데요, 70%를 초과하는 경우는 과매수권 , 30% 이하는 과매도권 으로 간주합니다.
윌더의 책에 따르면 RSI 보조지표 보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RSI 단독
- 주가가 실제 바닥이나 천장을 찍기 전에, RSI값이 30% 아래로 가거나 70%를 넘는 경우가 많으며, 조만간 전환 또는 반등(조정)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봉차트의 패턴 대신 RSI 신호의 모양을 패턴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0% 아래, 70% 위에서의 Failure Swing 패턴은 강력한 전환신호입니다.
B. 봉차트와 결합하는 경우
- RSI는 봉차트보다 지지·저항을 먼저 명확하게 보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종종 RSI의 지지·저항은 봉차트의 추세선과 유사한 경우가 있습니다.
- 가격과 RSI의 divergence는 시장 전환점에 대한 강력한 신호를 보여줍니다.
다만, 차트 패턴이나 지지·저항의 경우 다소 주관적인 면이 있어서 조금 애매한 경우가 있는 것 같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SI는 매매에 있어서 좋은 기준점을 제공하는데요, 이를 이용하여 매매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RSI로 매매하는 법
윌더의 책에 나와있거나 인터넷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RSI를 이용한 매매방법을 몇 가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을 기준으로 매수 위주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1 초기 추세전환에 사용
30% 기준선을 이용하여 추세의 전환 또는 반등을 예측하고 진입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주가가 일정 기간 하락하여 RSI 값이 30% 기준선 아래로 들어갔다고 가정해보죠.
▷ 전제조건 : RSI 값이 30선 아래로 진입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매수 신호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A. 30% 기준선 상향 돌파
RSI값이 30% 기준선 아래 있다가 기준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30선 돌파 1 30선 돌파 2
B.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
RSI 시그널 선은 RSI를 이동평균한 것으로 많은 증권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RSI가 30이하에 있다가,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시그널선 돌파 1 시그널선 돌파 2
사실 두 방법은 거의 비슷한 부분에서 신호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방법들은 추세 반전에 성공만 한다면 상당히 초반에 진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성공한 부분만 보면 정말 좋은 방법 같지만, 당연하게도 실패하는 신호도 많습니다.
추세반전 실패 1 추세반전 실패2
3.2 타 지표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RSI 만으로 진입신호로 이용하기보다는 이평선 등 다른 보조지표 또는 가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경우, 일부 보조지표는 필터(신호를 걸러내는 역할)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Larry Connor의 2-period RSI 전략
- Buy signal = 종가 > 200일 이평선 & RSI(2) < 10
- Sell signal = 종가 < 200일 이평선 & RSI(2) >90
즉, RSI를 매우 짧은 주기(2)로 설정하고, 이동 평균선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매수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장기 상승 추세에서 단기적으로 주가가 조정받는 경우 진입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청산은 장기 추세가 하락 전환 후 단기 반등 시에 청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RSI 주기가 2로 매우 짧은 만큼 기준선을 90%, 10%를 사용하여 false signal을 걸러줍니다.
아래는 위의 수식에 따른 몇 가지 매수 신호를 살펴본 결과입니다. (200일선 대신 60일선으로 사용)
진입 성공한 경우 진입 실패
개념적으로 이동평균선이 현재 장기 추세에 대한 일종의 필터로 사용되고, 진입 신호에 대한 트리거는 RSI(2)가 사용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지표를 혼합하여 다양한 전략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3.3 Failure Swing을 이용한 매매
앞에서 알아본 Failure Swing을 이용한 매매예제입니다. 매매의 일관성을 위해서는 failure swing에 대한 자신만의 정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Failure Swing을 이용한 매매 1 Failure Swing을 이용한 매매 2
3.4 Divergence를 이용한 매매
RSI와 봉차트의 다이버전스에 따른 매매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승 다이버전스 하락 다이버전스
일반적으로 다이버전스는 신뢰도가 RSI 지표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주관에 따라 애매하게 해석될 소지가 많습니다. 그리고 사실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하락 다이버전스 실패
4. RSI 보조 지표의 효용성
어느 보조지표라도 마찬가지겠지만, 막상 적용해서 테스트해보면 RSI 보조지표 하나로 일관된 수익을 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보조지표는 쓸모없다!" 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는 보조지표 자체만으로 완전한 매매신호를 추구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간단한 지표로 아주 쉽게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말이 안 되겠죠! 누구나 알 수 있다면 주가의 움직임은 금방 모습을 바꿔버릴 테니까요.
RSI의 효용성은 정확한 신호를 준다는 점이 아니라 매매전략에 기준점을 준다는 점에 있습니다.
RSI의 효용성
기술적 분석을 통해서 전략을 세울 때 일관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즉, 그때그때 해석이 달라지는 게 아니라 명확한 기준에 의해서 매매 기법이 테스트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봉차트를 보고서 현재 "가격이 많이 올랐네"와 "가격이 많이 하락했네"의 기준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아마 보는 사람의 주관과 기분, 그리고 주식 보유 여부에 따라서 그때그때 달라질 소지가 큽니다.
그런 면에서 "가격이 많이 올랐으면" "가격이 충분히 하락했으면"과 같은 모호한 표현 없이 "70%를 넘으면 과매수", "30% 아래에서는 과매도"와 같은 명확한 'RSI 지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 진정한 RSI의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 2개의 설명을 비교해볼까요?
1) 가격이 충분히 하락했으면 반등시 매수
2) RSI(14)가 30% 이하에서 30%를 돌파하면 매수
1번 설명은 차트를 보는 사람마다 매매 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같은 사람이더라도 보는 날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겠죠! 하지만 두번째 설명은 누가 해석을 하던지, 언제 해석을 하던지 동일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표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개개인이 전략의 엣지를 찾는 수밖에 없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Larry Corner의 2-period RSI 매매기법처럼 전혀 다른 접근으로 새로운 매매기법을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에게 RSI는 엄청나게 좋은 지표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술적 분석의 보조지표 중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RSI 보조지표 보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록 RSI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느냐는 개개인에게 달린 문제이지만, 차트를 분석하고 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지표이니 꼭 알아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자아빠 성장 이야기
○ RSI.
RSI(Relatuve Stength Index), 우리말로 하면 상대강도지수이다.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이다.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주식을 하다보니 이런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왜 내가 사면 빠지고, 내가 팔면 오르는거지?"
"대체 주식은 언제 사야하는거야. "
이럴 때 보조 지표를 활용한다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기가 그나마 쉬워보인다.
내가 사용하는 보조 지표는 크게 3가지이다.
사용하는 보조 지표가 너무 많으면 괜히 복잡하기만하고, 또 내가 그 수 많은 보조 지표를 다 알지도 못한다.
내가 활용하는 보조 지표를 나도 복습하는 차원에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려한다.
RSI의 개념은,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사용하며 눈으로 쉽게 보이는 그래프를 통해 현재 '침체구간' 인지, '과열구간' 인지 파악할 수 있다.
위키백과에 보면 공식도 나와있긴하지만 내가 직접 계산은 안할거기 때문에 패스!
- 침체구간 확인
주식은 대중들과 반대로 움직이라고 했던가!? 그럼 언제 반대로 움직어야지?
RSI 지표가 침체구간을 나타낸다면 그때가 바로 매수 타이밍이다.
침체구간은 RSI가 30 미만일 때를 나타낸다. - 과열구간 확인
그렇다면 반대로 RSI 지표 과열구간은 어디일까? 그것은 RSI 지표가 70 이상을 나타낼 때다.
정리하면, RSI가 침체구간일 때는 매수!, 과열구간일 때는 매도!가 기본적인 방법이다.
출처 : '꿀자몽'님의 블로그
유명한 에코프로비엠이다.(지금 언제쯤 매수할지 내가 계속 지켜보고 있는 종목중 하나!)
- '21.3월 RSI가 30미만을 나타내고 있다. 우연인지 이 때 주가는 거의 바닥이다.RSI 지표
- 다음, '21.4월 RSI가 70을 찍었다. 이 때 보면 주가가 거의 고점인것을 볼 수 있다.
4월 중산 이후 좀더 올랐다가 주가가 내려오는걸 볼 수 RSI 지표 있는데, RSI 역시 살금살금 내려오고 있다.
만약 내가 RSI를 보고 2/25에 사고, 4/2에 판다면 단기간에 20%의 수익이 가능하다.
출처 : '꿀자몽'님의 블로그
RSI 보조지표 파헤치기
RSI 보조지표
주식을 하면서 차트는 피해 갈 수 없는 요소 중 하나다. 물론 무슨무슨론자 무슨무슨론자 등 내 방법이 맞고 너 방법은 틀렸어라는 강성의 트레이더들도 계실 것이고,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투자를 하는 종합 투자방식을 선호하는 트레이더들도 많이들 계실 것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후자에 속하고 공부를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느낀다.
RSI는 무엇일까?
RSI는 relative strength indicator의 약자로 비교적 강약지수를 뜻하는 단어들을 합성시킨 말이다.
like 직독직해 되시겠다. 개발은 1978년 미국에서 시작됐고 윌레스 RSI 지표 RSI 지표 와일더 아저씨가 개발했다고 한다.
부가설명을 곁들이자면 일정 기간 동안(밑의 삼성전자의 차트를 참고하면 된다.) 주가의 등락 중에서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는 것으로 시장 또는 주가 움직임의 강도 측정의 지표를 말한다.
우리의 가장 친한 삼성전자를 참고해보자.
삼성증권HTS / 삼성전자 차트표
RSI는 복잡한 계산 공식이 존재한다. 여기서 개발자 아저씨의 의견은 특정일 기준 14일을 데이터로 사용하기를 권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RSI 차트표는 우리가 표시하기 전까지는 자동으로 뜨진 않는다. 보통 차트에서는 기업 주가와 거래량 표기를 해주는 두 종류의 차트만 표시되어있고 그 부수적인 보조지표들이 상당히 많다. 그중 오늘은 RSI를 알아보는 것일 뿐이고
RSI 보조지표도 HTS 기준 차트 표 우 클릭 후
HTS 추가법
추가를 할 수 있다 그렇게 보면 밑에 RSI의 보조지표가 하나 생성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까지 볼 준비를 마쳤으니 이제는 RSI 지표 읽는(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RSI는 50% 기준으로 이상은 매수 우세 이하는 매도 우세를 나타낸다
- RSI가 70% 이상이면 매수세가 상당히 큰 상태 즉 초과매수라 말함
- RSI가 30% 이하이면 매도세가 상당히 큰 상태 즉 초과매도라 말함
- RSI가 시그널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세가 늘어나는 추세
- RSI가 시그널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세가 늘어나는 추세
1번은 RSI 창을 반으로 나누고 오름세 내림세를 파악할 수 있고 2번 3번이 생소할 수 있지만 우리의 친구 삼성전자가 있지 않은가? 일전에 삼성전자는 십 만전 자라는 가즈아 운동을 펼쳤고 그 당시 실제로 십 만전 자를 달성하지는 못 하였지만 매수세가 엄청나 단기적으로 9만 원 중반까지 치솟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때 RSI 지표를 보면 감이 올 것이다. RSI가 70%를 엄청나게 상회함으로 주가 돌파 거래량 돌파로 상당히 강세인 모습이었다. 그 반대의 경우가 3번으라고 보면 되겠다. 마지막으로 4번 5번은 필자가 다른 포스팅으로 이동평균선에 대하여 포스팅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동평균선 이평선이 뭐고 어떻게 활용할까?
이동평균선이란 무엇일까? 차트를 보면서 많이 보고 많이 들어봤다. 하지만 우리는 여느때와같이 무엇인지 모른다. 그래서 알아보도록 한다. 어떻게 ? 필자와 함께 가는 것이다 고고싱 이동평균
RSI 지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무한매수법 종목 선정 시 유용한 RSI 지표.
아래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대강도지수(相對强度指數, 영어: relative strength index, RSI)는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이다.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RSI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Welles Wilder는 70% 이상을 초과매수 국면으로, 30% 이하를 초과매도 국면으로 규정했다. 따라서 RSI가 70%를 넘어서면 매도 포지션을, 30% 밑으로 떨어지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이 경우 대부분의 오실레이터 형 지표가 그렇듯 초과매수, 초과매도 국면에서 오래 머물며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전략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힘들다는 맹점이 있다. 따라서 이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으로 RSI가 70%를 넘어선 후 머물러 있다가 다시 70%를 깨고 내려오면 매도를, RSI가 30% 밑으로 내려가 머물러 있다가 다시 30% 이상으로 올라오면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다.
출처:윌라
- - 왔다갔다 한 그래프 거리에서 상승폭(거리)가 더 많은 경우, 50보다 높게 나오는 것.
예를 들어 왔다갔다 한 그래프 거리가 100이라고봤을 때, 상승만 70%를 차지한다는건, 변동된 그래프에서 70%가 상승이라는 뜻. (하락 30%) > 과열
Stock Screener - Technical TECL,FAS,RETL,DPST,DUSL,NAIL,LABU,TQQQ,FNGU,BNKU,UPRO,TPOR,DFEN,WEBL,TNA,MIDU,HIBL,WANT,SOXL rsi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RSI/주가의 고점, 저점을 알려주는 지표
: RSI는 주가의 상승 및 하락 간의 상대 강도를 나타내며, 일정기간 동안 주가가 상승한 변화값과 하락한 변화값의 평균값으로 구한다. 이를 통하여 주가의 추세 강도와 진행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RSI 예시(테슬라(TSLA), 5/23(일) 기준)RSI 지표
- RSI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30, 70을 기억하자
- 30 부근은 현재의 주가가 저점을 나타내는 구간이며, 70을 넘어서면 현재의 주가 흐름이 고점을 말해준다.
- 위의 테슬라 2021년 초부터 지금까지의 주가 흐름을 보면 연초 과도한 고점을 나타내다 점차 하락하였고 3월 초에는 주가의 최저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주가도 RSI와 마찬가지로 같은 흐름을 나타낸다. 현재 테슬라의 주가는 2021년 흐름을 보았을 때 RSI는 저점이라고 말해준다.
: 관심 주식의 주가 향방을 예측할 수 있는 RSI를 이용하여 매수, 매도 타이밍을 알아보자.
RSI를 적용한 진에어 주가 흐름
RSI 지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5월 1주차 포트폴리오에 필자가 소개했던 진에어의 주가 최근 흐름을 통해 매수, 매도 타이밍을 알아보자
- 4월 10일 ~ 4월 18일 정도에 RSI지표는 진에어의 주가가 저점이라고 말해주고 있음 ->매수타이밍
- 5월 10일 ~ 5월 18일 정도에 진에어의 주가가 고점이라고 말해주고 있음 ->매도타이밍
이처럼 간단하게 RSI를 적용하여 주가 향방에 대해 알아볼 수 있고 매수, 매도타이밍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필자는 실제로 이를 적용하여 고점 구간에 어느 정도 분할매도를 하여 수익을 내었다.
: 모바일 계좌 내에서 RSI 지표를 적용시키는 법을 알아보자
MTS에서 RSI 적용하기 (in 신한알파 앱)
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증권사 앱을 예시로 알려드리면
1. 먼저 앱 내의 RSI 지표 현재가에 들어가신 후 관심 있는 주식 종목명을 검색한다.
2.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클릭 후 변동성 지표를 누른다.
3. RSI 박스 안에 체크표시를 하여 RSI를 적용시킨다.
4. 아래의 RSI 설정 화면에서 자신만의 스타일로 지표의 기간이나 색을 설정한다.
RSI 지표 설정 화면
보통의 경우 기간은 9나 14를 많이 이용하고 매매 방식에 따라 개인차가 존재한다. 또한 Signal과 매매신호 설정도 개인에 따라 설정하시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여 자신과 가장 잘 맞는 설정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동평균선/주가의 예측 지표를 통해 매매타이밍 잡기
이동평균선(MA/Moving Average)이란? : 이동평균선이란 주가의 일일 변동 사항을 일정기간을 단위로 하여 평균치를 구한 것으로 일정 기간의 주가 평균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주가 동향을 예측하
0 개 댓글